본문 바로가기
기후 변화와 대응

플라스틱 쓰레기와 기후 위기, 연결 고리는 무엇인가

by 필리s 2025. 7. 17.

NO.1 플라스틱의 시작: 편리함이 불러온 환경 재앙

플라스틱은 20세기 중반부터 전 세계적으로 급속히 확산된 소재다. 가볍고, 저렴하며, 가공이 쉬워 의료기기부터 식품 포장, 전자제품에 이르기까지 거의 모든 산업 분야에서 활용된다. 그러나 플라스틱은 석유를 원료로 제조되는 화석연료 기반 제품이라는 사실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플라스틱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석유 정제, 폴리머 가공, 열가소성 성형 등의 공정이 필요하며, 이 과정에서 막대한 양의 이산화탄소와 메탄이 배출된다. 실제로 2020년 기준, 전 세계 플라스틱 산업에서 발생한 온실가스는 약 13억 톤 이상으로 추정되며, 이는 항공 산업 전체보다도 높은 수치다. 이처럼 플라스틱은 생산 초기 단계에서부터 이미 기후 변화의 주요 요인 중 하나로 기능하고 있다. 편리함을 좇은 인간의 선택이 지금 지구의 숨통을 조이고 있다는 점에서, 플라스틱의 본질에 대한 재고가 필요한 시점이다.

NO.2 사용 후의 문제: 플라스틱 쓰레기와 메탄 배출

플라스틱의 환경 문제는 단순히 폐기물 처리의 어려움에 그치지 않는다. 더 큰 문제는 플라스틱이 분해되거나 소각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이다. 매립된 플라스틱은 햇빛과 열에 의해 점차 미세플라스틱으로 쪼개지며, 이 과정에서 메탄과 에틸렌이 지속적으로 방출된다. 특히 플라스틱 중 폴리에틸렌류는 온도와 자외선에 민감하게 반응해 대기 중 메탄 배출을 유도하는 주요 소재로 확인되고 있다. 또한 많은 개발도상국이나 섬나라에서는 플라스틱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는 적절한 시스템이 없어 야외 소각이나 불법 투기가 빈번하게 발생하며, 이 역시 기후 변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플라스틱이 제대로 재활용되지 않고 버려지는 한, 그것은 단지 쓰레기가 아닌 기후 위기를 가속화하는 가스 공장이 되어버린다.

NO.3 재활용의 현실과 구조적 한계

많은 사람들은 플라스틱을 재활용하면 문제가 해결된다고 믿지만, 현실은 다르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생산된 플라스틱 중 단 9%만이 실제로 재활용되고 있으며, 나머지는 매립되거나 소각, 혹은 자연으로 유입된다. 그 이유는 재활용이 생각보다 비용이 높고, 품질 유지가 어렵기 때문이다. 다양한 종류의 플라스틱이 섞여 있는 폐기물을 분류하고, 세척하고, 다시 가공하는 과정은 많은 에너지와 자원을 소모한다. 또한, 플라스틱은 반복 재활용 시 소재의 강도가 약해지기 때문에 결국에는 다운사이클링(저품질 제품으로 재사용)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 결과, 실제 재활용률은 낮고,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에너지 소비와 온실가스 배출은 여전히 크다. 즉, 재활용이 모든 해답이 될 수 없으며, 플라스틱 사용 자체를 줄이는 것이 보다 근본적인 해결책이라 할 수 있다.

플라스틱 쓰레기와 기후 위기, 연결 고리는 무엇인가

NO.4 바다에 쌓이는 탄소폭탄: 해양 플라스틱과 기후 시스템

플라스틱 쓰레기의 상당수는 강을 따라 바다로 흘러가 해양 생태계를 위협할 뿐 아니라, 지구 기후 시스템에도 악영향을 끼친다. 바다에 유입된 플라스틱은 해양 동물의 생존을 위협할 뿐 아니라, 부유 상태로 표면 온도를 상승시키고 해양의 탄소 흡수 능력을 저하시킨다. 해양은 지구 전체 이산화탄소의 약 30%를 흡수하는 거대한 탄소 싱크 역할을 한다. 그러나 플라스틱으로 덮인 해수면은 광합성을 수행하는 식물플랑크톤의 생장을 방해하고, 그로 인해 해양 탄소순환이 교란된다. 이와 함께 해양에 유입된 미세플라스틱은 물고기와 조개류를 통해 인간에게까지 돌아오는 순환적 문제를 발생시킨다. 결국 플라스틱 문제는 단지 미관이나 생물 보호의 문제가 아니라, 지구 기후 안정성 그 자체에 영향을 미치는 중대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

NO.5 기후 위기를 막기 위한 플라스틱 대응 전략

플라스틱 문제를 통해 기후 위기를 막기 위해서는 다층적인 대응이 필요하다. 첫째, 생산 단계에서부터 바이오 기반 플라스틱이나 재사용 가능한 소재로의 전환이 요구된다. 둘째, 일회용 플라스틱의 사용을 법적으로 제한하거나 금지하는 정책은 효과적인 감축 수단이 될 수 있다. 유럽연합(EU), 캐나다, 한국 등은 이미 관련 규제를 시행 중이며, 기업들도 이에 대응하여 친환경 포장재 개발에 나서고 있다. 셋째, 소비자의 역할도 중요하다. 텀블러, 장바구니, 다회용기 사용, 그리고 불필요한 포장 제품 지양 등은 일상에서 실천 가능한 행동이다. 마지막으로는 교육과 인식 전환이 필수적이다. 플라스틱 문제를 단순한 쓰레기 문제가 아닌, 기후 변화와 직결된 위기 요소로 이해하고 행동하는 것이 지금 가장 필요한 변화다. 우리 각자의 작은 선택이 기후 회복의 첫걸음이 될 수 있다.